혼자서도 잘 놀던 아기가 계속 안아달라며 엄마만 찾고, 이랬다가 저랬다가 변덕이 심한 모습을 보이면 엄마들은 안 그래도 힘든 육아에 더 지치게 됩니다. 갑자기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아기 재접근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재접근기란?
아기가 엄마와 하나라고 느꼈던 생각에서 벗어나 엄마로부터 정신적으로 독립을 하기 위한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아기는 엄마로부터 독립을 해도 안전한 지를 확인받고 싶어 하고, 엄마로부터 정신적인 에너지를 충분히 받고 싶어 합니다. 정리하면 엄마로부터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얻고자 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쉽게 말해 엄마들이 말하는 엄마 껌딱지 시기입니다.
주요 행동
보통의 경우 평균적으로 생후 16개월에서 24개월 사이 즈음에 나타납니다. 엄마가 자신과 놀아주거나 자신을 보고 있지 않으면 시도 때도 없이 와서 엄마를 붙잡고 늘어지기 때문에 이 시기를 겪는 엄마들은 육아의 매운맛을 제대로 보게 됩니다. 동생이 있는 경우라면 엄마가 동생과 함께 있는 모습을 보지 못하는 아기들도 있습니다.
엄마에게 집착한다.
혼자서 잘 놀다가도 갑자기 엄마를 찾고 안아달라고 보채거나 엄마에게 요구하는 사항이 가지각색으로 하루 종일 엄마를 괴롭게 합니다. 엄마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고집이 세지며 변덕이 심해진다.
엄마에게 요구하는 사항이 일관적이지 않고 변덕스러우며 고집을 부립니다. 저의 첫째 아이의 경우 안아달라고 해서 안아주면 내려달라고 울고, 내려달래서 내려주면 안아달라고 우는 등 변덕이 정말 심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잠을 잘 못 잔다.
잠을 자다가도 갑자기 엄마를 찾으며 울면서 깨기도 하고, 자면서도 엄마가 옆에 있는지 확인하려 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통잠을 잘 자던 아기들도 이 시기에 잠자는 것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기가 잠을 잘 못 자거나 안 자려할 때에는 다그치지 않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며 옆에서 잠들 때까지 지켜봐 주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 이외의 인물이 달래기 힘들다.
이 시기에는 엄마가 아닌 다른 사람이 달래면 달래지지 않고 강성으로 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빠도 예외는 아닙니다. 오직 엄마만이 아기를 달랠 수 있습니다.
양육(대처) 방법
이 시기의 아기들에게 버릇 나빠진다며 무조건 안된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되도록 요구하는대로 해준다.
엄마가 많이 힘든 시기인 것은 백번 천 번 공감하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기들은 엄마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준비하고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 도약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아기 본인이 가장 힘들 것입니다. 엄마는 많이 힘들겠지만, 되도록 아기가 요구하는대로 해주며 아기를 이해하는 말을 많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험한 상황은 단호하게 안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무조건 아기의 요구를 전부 다 들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아기가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단호하게 안된다고 말해줍니다. 다만 이때에는 길고 장황한 설명보다는 아기가 알아듣기 쉽게 간결하게 말해줍니다.
많이 안아줍니다.
아기는 불안하고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엄마가 자신을 믿고 있으며 사랑한다고 느끼게 되면 아기는 안정감이 생기게 됩니다. 어쩌면 안정감이 생기는 것이 이 시기를 빨리 지나갈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아기가 달래지지 않을 정도로 우는 상황이라면 엄마는 많이 힘들겠지만 잠시 참고 기다려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기가 달래지고 나면 안아주면서 아기를 이해하는 말을 많이 해주는 것이 안정감 형성에 좋은 방법입니다.
아기와 엄마 모두가 힘든 시기
재접근기가 오는 시기는 아기들마다 다릅니다. 재접근기에 아기들마다 보이는 공통적인 행동들도 있지만, 모두가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엄마들이 매우 힘든 시기라는 것입니다. 저도 겪어봤기에 엄마들의 힘듦을 이해하고 공감합니다. 하지만 아기 또한 마찬가지로 크느라 많이 힘들 것입니다. 소중한 내 아기를 위해 심호흡하고 조금 여유를 가지며,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 산통(아기 배앓이), 실제 진단과 대처방법 (0) | 2022.11.16 |
---|---|
아기 빨간 반점 연어반 없어지는 시기 (0) | 2022.11.08 |
자다가 자주 깨는 아기 이유와 해결방법 (0) | 2022.11.06 |
아기 열나는 이유와 대처방법 (0) | 2022.10.31 |
아기 열날때, 대처방법과 도움이 되는 어플 (0) | 2022.10.30 |